AWS서버 FileZilla Root 권한으로 접속하는 방법.

개발/리눅스 2023. 10. 20. 17:16

나의 경우에는 파일이 전부 root 권한이라 

먼저 root 계정으로 접속한다 

 

sudo -i 

 

vi /etc/ssh/sshd_config

파일은 보면 

#LoginGraceTime 2m 밑에 

PermitRootLogin yes 

를 하고 esc 누른 후 :wq 를 이용해서 저장한다.

 

cd /home/ec2-user 이동 후에
cp .ssh/authorized_keys /root/.ssh/ 명령어를 입력하면 복사 할거냐고 물어보는데 y를 입력 하면 된다.

 

그 후에 파일질라로 접속해보면 되는걸 확인할 수 있다.

'개발 > 리눅스' 카테고리의 다른 글

리눅스 톰캣 다중 띄우기  (0) 2020.02.18
리눅스 스프링 프로젝트 띄우기  (0) 2020.02.14
리눅스 톰캣 설치  (0) 2020.02.14
리눅스 JAVA 설치  (0) 2020.02.14

리눅스 톰캣 다중 띄우기

개발/리눅스 2020. 2. 18. 14:24

1.기존 톰캣을 복사한다

# cp -r /usr/local/tomcat /usr/local/tomcat2

 

2. catalina.sh 파일 수정

# vi /usr/local/tomcat/bin/catalina.sh

위 파일을 열어서 아래 빨간 부분을 추가시켜준다

 

# resolve links - $0 may be a softlink
PRG="$0"

while [ -h "$PRG" ]; do
ls=`ls -ld "$PRG"`
link=`expr "$ls" : '.*-> \(.*\)$'`
if expr "$link" : '/.*' > /dev/null; then
PRG="$link"
else
PRG=`dirname "$PRG"`/"$link"
fi
done

export CATALINA_HOME=/usr/local/tomcat
export TOMCAT_HOME=/usr/local/tomcat
export CATALINA_BASE=/usr/local/tomcat
CATALINA_PID=/usr/local/tomcat/bin/tomcat.pid

# Get standard environment variables
PRGDIR=`dirname "$PRG"`

*기존 톰캣은 tomcat으로, 복사한 톰캣은 tomcat2로 설정해준다

 

3. conf/server.xml 파일 수정

(여기서는 파란색이 기존 tomcat, 빨간색을 tomcat2로 표시하겠다)

<Server port="8005" shutdown="SHUTDOWN">

...

<Connector port="8080" protocol="HTTP/1.1" connectionTimeout="20000" redirectport="8443" />

...

<Connector port="8009" protocol="AJP/1.3" redirectPort="8443" />

 

 

<Server port="9005" shutdown="SHUTDOWN">

...

<Connector port="9080" protocol="HTTP/1.1/" connectionTimeout="20000" redirectport="8443" />

...

<Connerctor port="9009" protocol="AJP/1.3" redirectPort="8443" />

 

 

'개발 > 리눅스' 카테고리의 다른 글

AWS서버 FileZilla Root 권한으로 접속하는 방법.  (0) 2023.10.20
리눅스 스프링 프로젝트 띄우기  (0) 2020.02.14
리눅스 톰캣 설치  (0) 2020.02.14
리눅스 JAVA 설치  (0) 2020.02.14

리눅스 스프링 프로젝트 띄우기

개발/리눅스 2020. 2. 14. 17:43

이클립스 해당 프로젝트에서

우클릭 > Export > Web > WAR file 선택 

Web Project : 프로젝트 이름 (자동으로 입력 되어있다)

Destination : 파일 저장 위치

설정 후 Finish

 

WAR파일을

tomcat/webapps 폴더에 넣는다

 

tomcat 설치 경로의 conf를 들어간다

#vi server.xml

 

<Host name="localhost" appBase="webapps" unpackWARs="true" autoDeploy="true"> 태그 밑에 

<Context path="" DocBase="/usr/local/tomcat/webapps/WAR파일명" reloadable="true" />

주의 파일명을 입력할 때 .war제외 (ex: test.war 라면 test만 입력)

 

입력 후 톰캣을 재실행 해준다

bin으로 가서 ./shutdown.sh  후 ./start.sh

 

http://서버 ip입력:8080/프로젝트명

입력하면 확인 할 수 있다

 

만약에 url에 프로젝트명을 입력하지 않으려면

<Context path="/"    이렇게 바꿔주면 된다

 

 

'개발 > 리눅스' 카테고리의 다른 글

AWS서버 FileZilla Root 권한으로 접속하는 방법.  (0) 2023.10.20
리눅스 톰캣 다중 띄우기  (0) 2020.02.18
리눅스 톰캣 설치  (0) 2020.02.14
리눅스 JAVA 설치  (0) 2020.02.14

리눅스 톰캣 설치

개발/리눅스 2020. 2. 14. 15:21

http://mirror.apache-kr.org/ 사이트에 들어가서

tomcat / tomcat-7 / v7.0.99 / bin / apache-tomcat-7.0.99.tar.gz를 다운받는다.

#cd /usr

#mkdir tomcat

해당 파일을 서버에 올린다 ( 파일질라 등의 프로그램을 이용해서)

 

만들어진 폴더로 이동해서 tar 압출을 풀어준다

#tar -zxvf apache-tomcat-7.0.99.tar.gz

#/usr/local/tomcat/apache-tomcat-7.0.99/bin

#./startup.sh

 

실행되었는지 확인하고 싶으면

 

#ps -ef | grep tomcat 

으로 확인할 수 있다

 

 

리눅스 JAVA 설치

개발/리눅스 2020. 2. 14. 15:12

톰캣을 설치 하기 위해서는 먼저 jdk 를 설치 한다.

 

jdk 설치 가능 확인

# yum list java*jdk-devel

   =Loaded plugins: fastestmirror

 

jdk 설치

# yum install java-1.7.0-openjdk-devel

   이렇게 하면 설치를 하는데 중간에 아래와 같이 묻는데 y를 입력하면 된다

   =Is this ok [y/d/N]: y

   complete! 를 확인할 수 있다.

 

jdk 설치 확인

# rpm -qa java*jdk-devel

    =java-1.7.0-openjdk-devel-1.7.0.241-2.6.20.0.el7_7.x86_64

# javac -version

   =javac 1.7.0_241

 

java 설치 경로 확인

# which java

 

java 설치 삭제

# yum remove java-1.7.0-openjdk-devel